오늘은 부정사구 8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2(4가지 명사 수식)를 강의하겠습니다.
그 전에, 아래 참고 링크들을 사알~짝 훑어보고 오세요.
부정사구의 주어 |
① 원칙: 생략한다. (상황 상 알 수 있거나, 안중요하거나 모르기 때문에) ② 예외: 필요 시 명시한다. |
< 참고 링크 > 부정사구 1강: 일반용법 - 8가지 순서와 해석(1~5형식) https://eskill.tistory.com/165 |
부정사구에서의 생략 이유 |
① 상황 상 알 수 있는 경우 ② 안 중요한 경우 ③ 모르는 경우 |
< 참고 링크 > 부정사구 3강: 일반용법 - 8가지 순서와 해석(생략) https://eskill.tistory.com/167 |
준동사구의 숲은 아래표와 같은데, 오늘 강의할 부분에 주황색 음영을 넣었고 이미 강의한 부분에는 회색 음영을 넣었습니다. 숲을 먼저 본 후 나무를 봅시다.
부정사구가 형용사구일 때
그 역할은 명사 수식(한정적 용법) 과 보어(서술적 용법)인데
명사 수식 역할의 4가지를 구분하여 강의해보겠습니다.
(용어를 이해하며 잘 따라오세요.)
(1) (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주어
I need someone to help me.
나는 나를 도울 어떤 사람을 필요로 한다.
전체 문장은
I가 주어, need이 동사, someone to help me가 목적어인
3형식 순서입니다.
help는 ‘~을 돕다 ’로서 뒤에 목적어를 취하는 3형식 동사입니다.
따라서, to help 뒤에 목적어 me가 있습니다.
그런데 to help의 주어가 없네요. 왜 없을까요? 있다면 어디에 있을까요?
상기 참고 링크의 내용처럼
부정사구의 주어는
원칙적으로 생략하되, 예외적으로 필요 시 명시하며
생략은
① 상황 상 알 수 있는 경우 ② 안 중요한 경우 ③ 모르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 예문에서는
상황 상 알 수 있기 때문에 부정사구의 주어를 생략한 것입니다.
I need someone to help me.
나는 나를 도울 어떤 사람을 필요로 한다.
나를 돕게 된다면 누가 나를 도울까요?
someone이겠죠?
상황 상 to help의 주어가 someone임을 알 수 있으니 명시할 필요가 없는 겁니다.
이때 someone을 to help의 의미상의 주어라 부릅니다.
→ 대명사 someone이 부정사구 to help의 의미상의 주어
(2) (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목적어
I have a letter to write.
write은 ‘~을 쓰다 ’로서 뒤에 목적어를 취하는 3형식 동사입니다.
어, 그런데 뒤에 목적어가 없네요? 어떻게 된걸까요?
뒤에 쓴다면 무엇을 쓸까요?
당연히 a letter겠지요.(‘편지를 쓰다’에서 유래했으니)
I have a letter to write it. (X)
write이 3형식 동사라고 해서 이렇게 목적어로 대명사를 적으면, 문법적으로 틀립니다.
(영어는 중복을 싫어합니다.)
I have a letter to write. (O)
그렇다면 write의 주어는 뭘까요?
누가 편지를 쓸까요?
당연히 I입니다.
대명사 I을 부정사구 to write의 의미상의 주어,
a letter를 부정사구 to write의 의미상의 목적어라고 부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부정사구(형용사구)의 명사 수식에 초점 맞추고 있으니
I have a letter to write.
밑줄에만 신경쓰자면
‘편지가 쓰다’에서 유래하지 않았기에
(1)번((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주어) 사례가 아닙니다.
(2)번은 (1)번과 별개인 것이 확실합니다.
→ a letter는 부정사구 to write의 의미상의 목적어(to write a letter에서 유래)
(3) (대)명사가 전치사의 의미상의 목적어
He has a chair to sit on.
그는 위에 앉을 의자를 가지고 있다.
전치사 on 뒤에 전치사의 목적어가 없네요.
일단, 전치사의 목적어라는 용어 이해부터 합시다.
예를 들어, with him이라 하지, with he라고 하진 않지요. 즉, 전치사 with 뒤의 명사류는 목적격이 됨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치사 뒤의 명사류는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앉는다면 의자 위에 앉겠요.(to sit on a chair에서 유래)
He has a chair to sit on it. (X)
하지만, 이렇게 영작하면 중복이 되어 문법적으로 틀립니다.
He has a chair to sit on. (O)
이렇게 영작해야 맞습니다.
이때 명사 a chair는 전치사 on의 의미상의 목적어입니다.
(물론, 상황 상 알 수 있는 He는 부정사구 to sit의 의미상의 주어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부정사구(형용사구)의 명사 수식에 초점 맞추고 있으니
He has a chair to sit on.
밑줄에만 신경쓰자면
‘의자가 앉다’에서 유래하지 않았기에
(1)번((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주어) 사례가 아니며
‘의자를 앉다’에서 유래하지도 않았으므로
(2)번((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목적어) 사례도 아닙니다.
(3)번은 (1)번 및 (2)번과 별개인 것이 확실합니다.
→ a chair는 전치사 on의 의미상의 목적어(to sit on a chair에서 유래)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He has the house to live in.
→ the house는 전치사 in의 의미상의 목적어(to live in the house에서 유래)
(4) 단순 수식
I have no time to stay here.
효율성을 위하여 짧은 형용사류(관사와 형용사)는 앞에서, 긴 형용사류(형용사구(전치사구, 부정사구와 분사구)와 형용사절(관계사절))은 뒤에서, (대)명사를 수식합니다. |
< 참고 링크 > 부정사구 7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명사 수식-1) https://eskill.tistory.com/171 |
짧은 형용사류(형용사)인 no는 앞에서,
긴 형용사류(부정사구)인 to stay here는 뒤에서
명사 time을 수식하고 있는 효율적인 순서입니다.
‘시간은 여기서 머문다’에서 유래하지 않았으므로
(1)번((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주어) 사례가 아니며
‘시간을 여기서 머문다’에서 유래하지도 않았으므로
(2)번((대)명사가 부정사구의 의미상의 목적어) 사례도 아니며
전치사가 없기에
(3)번((대)명사가 전치사의 의미상의 목적어) 사례도 아니므로
(4)번은 (1)번, (2)번 및 (3)번과 별개인 것이 확실합니다.
→ 부정사구 to stay here는 명사 time을 단순 수식
→ (1)~(4)번의 구분을 잘 하셔야 합니다.
이상, 부정사구 8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2(4가지 명사 수식)의 강의를 하였고, 다음 시간에는 부정사구 9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3(보어)을 강의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상단에 ‘질의응답(어휘•문법•구문)’과 ‘Multi1Puzzle’ 카테고리를 추가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질의응답(어휘•문법•구문) 어휘, 문법이나 구문의 구조나 해석이 안되는 경우 글을 게시해주시면, 아는대로 답면해드리겠습니다. (다만, 긴 숙제를 대신해달라는 질의는 삼가주셨으면 합니다.) 2. Multi1Puzzle 퍼즐, 퀴즈와 주옥같은 명언을 한방에! → 두뇌 개발! 감성 개발! 영어 공부! 4 Puzzles + 1 Quiz + 1 Insipirational Quote → Brainup! Heartup! Englishup!, https://www.youtube.com/channel/UCuP6eoU4Qnsz0XYlj9ET5xA |
김치뇌에 빠다듬뿍
똘미의영어skill
아래의 구독과 공감 버튼을 꼬~옥 눌러주시고 댓글주시면 똘미샘에게 큰 힘이 되며, 알찬 강의로 보답하겠습니다. |
'문법 Skill > 부정사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정사구 10강: 일반용법 – 역할 – 부사구1(목적, 원인) (0) | 2022.05.06 |
---|---|
부정사구 9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3(보어) (0) | 2022.04.25 |
부정사구 7강: 일반용법 – 역할 – 형용사구1(명사 수식) (0) | 2022.04.15 |
부정사구 6강: 일반용법 – 역할 – 명사구2(전치사의 목적어, 동격) (0) | 2022.04.12 |
부정사구 5강: 일반용법 – 역할 – 명사구1(주어, 목적어, 보어) (0) | 2022.04.10 |
댓글